본문 바로가기
KOMSCO는 지금/KOMSCO 사업&기술

기념주화 속 한국의 문화유산 시리즈

by 한국조폐공사 2016. 6. 15.

기념주화 속 한국의 문화유산 시리즈

 

2010년부터 우리나라의 유네스코 세계 유산 총 12개 중 10개를 기념주화(한국은행이 발행, 한국조폐공사 제조)로 만들었는데요.

2010년 종묘 기념주화를 시작으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2011), 석굴암과 불국사(2012)가 발행됐습니다. 이후 한국의 문화유산 기념주화로 명칭이 변경 된 후, 창덕궁과 수원화성(2013), 해인사 장경판전·하회와 양동 마을·남한산성(2014), 경주역사유적지구·백제역사유적지구(2015)로 이어졌습니다.

 

올해 발행되는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기념주화는 8월 2일 발행 예정으로, 해당 시리즈의 마지막 기념주화입니다.  

 

 

※ 기념주화 예약접수 관련 더보기

 



 

201682일에 발행될 예정인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기념주화

 

올해 발행되는 기념주화 총 2종은 액면금액 50,000원인 프루프(Proof)* 은화(99.9%)로 크기(지름)33mm, 중량은 21g이며 테두리는 원형의 톱니모양으로 제조되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프루프(Proof) 주화는 먼지가 없는 특별한 작업공간에서 비연속 낱장(일반주화의 경우 연속 대량) 방식으로 압인되고, 엄격한 검수와 낱개 포장 공정을 거쳐 생산되는 가장 높은 품질의 무결점 주화를 이릅니다.

 

기념주화의 배경이 되는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은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남도 화순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일대에 분포해 있고, 2000년 12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는데요. 기원전 2000∼3000년의 장례 및 의식 유적으로 선사시대의 기술 및 사회발전을 생생히 보여주는 뛰어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각주:1]

 

▼ 시리즈의 7번째로 발행되는「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기념주화의 앞면과 뒷면 이미지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기념주화는 앞면고창 죽림리 고인돌 군락지와 강화 부근리 고인돌의 전경을 묘사했고, 뒷면은 화순 대신리 감태바위 채석장과 출토 유물의 모습을 표현했습니다.  

 

 

 

 

▼ 시리즈의 7번째로 발행되는조선왕릉」 기념주화의 앞면과 뒷면 이미지

 

 

조선왕릉 기념주화의 앞면은 조선 태조 이성계 능인 건원릉의 봉분 전경과 주변의 문인석, 석양 등 석물의 모습을 표현했고, 뒷면은 조선왕조 의궤에 표현된 왕릉 평면도를 묘사했습니다.

 

조선왕릉은 1408년부터  만들어져 5천년에 걸친 한반도 왕실무덤 건축의 완성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18개 지역에 흩어져 있고 총 40기에 달합니다. 선조와 그 업적을 기리고 존경을 표하며, 왕실의 권위를 다지는 한편 선조의 넋을 사기()로부터 보호하고 능묘의 훼손을 막는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각주:2]

 

 

 

 

한국의 문화유산 기념주화의 마지막 시리즈인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기념주화.

 

그렇다면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우리 문화유산을 담은 기념주화를 살펴볼까요?^^

 

 

1. 201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종묘) 기념주화

 

2010년 발행된 종묘 기념주화는 국민들의 문화적 자긍심 고취 및 우리 문화와 자연의 해외 홍보를 위해 발행된 기념주화입니다. 

종묘(宗廟)는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으로서 세계적으로 독특한 건축양식을 지닌 중요 건축물로서의 그 보존가치를 인정받아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50HlrYvN

 

유네스코 세계유산(종묘) 기념주화의 앞면은 종묘의 중심 건물인 국보 제227호 종묘정전(宗廟正殿), 뒷면은 종묘제례(宗廟祭禮) 절차 중 초헌례(初獻禮)의 한 장면으로 초헌관이 첫 잔을 올린 후 대축관이 축문을 읽는 가운데 초헌관이 부복하는 모습을 표현했습니다. 액면금액 30,000원인 프루프(Proof) 은화(99.9%)로 크기(지름)33mm, 중량은 19g이며 테두리는 원형의 톱니모양으로 제조되었습니다.

 

 

 

2. 201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기념주화

 

2010종묘소재 기념주화에 이은 2011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주화입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지역은 2007년 한라산, 성산일출봉 및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이며,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에는 거문오름을 비롯하여 당처물동굴, 벵뒤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 등 5개의 동굴이 포함됩니다.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53kgErbx

 

기념주화의 앞면은 한라산과 성산일출봉을, 뒷면은 당처물동굴의 내부 모습을 각각 표현했는데요.

유네스코 세계유산(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기념주화는 액면금액 50,000원인 프루프(Proof) 은화(99.9%)로 크기(지름)33mm, 중량은 19g이며 테두리는 원형의 톱니모양으로 제조되었습니다.

 

 

3. 201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석굴암과 불국사) 기념주화

 

2010년에 종묘, 2011년에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기념주화 발행을 완료하였으며, 2012년에 동 기념주화 시리즈의 세번째 주화인 석굴암과 불국사기념주화를 발행했습니다.

 

불국사는 통일 신라의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건축물로 1996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는데요. 불국사 위쪽 토암산 정상 가까이에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석굴 사원인 석굴암이 있으며, 역시 1996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FuMSTtbO

 

유네스코 세계유산(석굴암과 불국사) 기념주화의 앞면에는 석굴암 본졸불, 주실, 금강역사상이, 뒷면에는 청운교.백운교를 중심으로 불국사 전경이 담겼습니다. 액면금액 50,000원인 프루프(Proof) 은화(99.9%)로서 크기(지름)33mm, 중량은 19g이며 테두리는 원형의 톱니모양으로 제조되었습니다.

 

 

 

4. 2013년 한국의 문화유산 기념주화(수원화성, 창덕궁, 한글)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하고 홍보하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기념주화에서 2013년 기획성 기념주화인한국의 문화유산 기념주」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1997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수원화성, 창덕궁,  한글을 소재로 하여 3종을 동시에 발행하는 한국의 문화유산 기념주화면금액 50,000원인 프루프(Proof) 은화(99.9%)로 모양은 12, 맞변지름은 33mm, 중량은 19g이며 테두리는 톱니모양으로 제조되었습니다.

 

기념주화 도안에 있어서는 창덕궁은 인정전, 수원화성은 구조적 독창성이 뛰어난 서북공심돈주제로 표현하고, 한글은 훈민정음의 제자원리(製字原理)시각화하였으며, 공통으로 적용되는 뒷면은 경복궁 자경전의 꽃담을 주제로 하여 한국적 전통미를 표현하였습니다.

 

① 수원화성 : 성곽주위와 적군의 동태를 살피기 위한 망루와 유사한 시설물을 공심돈(空心墩)이라 하는데 수원화성에는 서북공심돈, 동북공심돈, 남공심돈이 있었습니다. 기념주화의 앞면은 서북공심돈을 주제로하였고, 뒷면은 경복궁 자경전의 꽃담을 주제로 표현했습니다.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xx1C77mx

 

② 창덕궁 :  창덕궁 인정전이란 역대 왕들이 정무를 행하였고 왕의 즉위식이 열리는 등 조선왕조에 대한 상징성이 높은 건물로 국보 제225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념주화의 앞면은 이처럼 창덕궁의 인정전을, 뒷면은 경복궁 자경전의 꽃담을 주제로 표현했습니다.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xCuhY3xx

 

③ 한글 : 앞면훈민정음의 제자원리(製字原理)시각화했는데요. 한글 자음 및 모음체계도(1983, 박병천 현 경인교육대학교 명예교수)의 내용을 토대로 재구성했습니다. 뒷면은 경복궁 자경전의 꽃담을 주제로 표현했습니다.

 

5. 2014년 한국의 문화유산 기념주화(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해인사 장경판전, 남한산성)

 

2013년에 이어 한국의 문화유산기념주화 3종을 2014년 발행했습니다.

도안의 소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해인사 장경판전, 남한산성인데요.

2014년까지 우리나라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중 총 5건을 소재로 하여 기념주화를 발행했습니다.  

 

특히, 2014년의 기념주화는 사각형과 삼각형 형태로 우리나라 기념주화로는 최초로 시도된 것입니다. 

원형주화는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이 지닌 향촌 공동체 문화의 특성을, 사각형은 해인사 장경판전과 장경판의 형태를, 삼각형은 남한산성 성곽과 산의 모양을 형상화했습니다.

 

기념주화 3종 모두 액면 50,000원의 은화(99.9%)로 프루프(Proof)급으로 제조되며, 형태는 각 문화유산의 고유 특징을 살려 원형, 사각형, 삼각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조형미의 조화를 도모했습니다.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기념주화는 에 S자 모양의 강줄기를 따라 형성된 하회마을의 전경을 담았고, 뒷면에는 산비탈에 자리잡은 양동마을의 기와집과 초가집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모습을 배경으로 디자인했습니다.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Gg69incA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5aNheY0y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5VnchD06

 

해인사 장경판전 기념주화의 앞면 장경판전의 외부 전경을 주변의 숲, 바람과 함께 묘사해 판전의 건축미와 자연환경을 활용한 지혜를 표현했습니다. 뒷면은 판전 내부와 습도 조절을 위해 소금, , 찰흙 등으로 구성된 바닥 단층면을 입체적으로 형상화하여 보존 과학의 우수성을 강조했습니다.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xaKv7iXM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Fi6utmmw

 

남한산성 : 앞면 남한산성의 동문(東門)인 좌익문(左翼門)과 성곽의 전경을 새겨 넣어 뛰어난 축성술과 성곽의 곡선미를 표현했습니다. 뒷면은 고지도첩(영남대학교 소장)에 실린 남한산성의 그림(18세기 후반 제작 추정)을 삽입하여 산성 내부의 옛 모습을 보여줍니다.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GEB49CVl

 

 

사진출처 : Pixabay http://me2.do/xdZqPL88

 

6. 2015년 한국의 문화유산 기념주화(경주역사유적지구, 백제역사유적지구)

 

2015년 경주역사유적지구,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소재로 기념주화로 발행했습니다. 유네스코는 1972년 이후부터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닌 자연유산 및 문화유산들을 발굴 및 보호하기 위해 자연/문화/복합유산으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는데요~ 한국의 문화유산 기념주화의 배경이 된 경주와 백제역사유적지구는 각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경주 2000년, 백제 2015년)된 한국의 문화유산입니다.

 

경주역사유적지구 기념주화는 앞면경주 동궁과 월지의 전경을 묘사했고, 뒷면은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중 산촌불 등 일부 불상의 모습을 새겨 넣었습니다.

 

 

 

사진 출처 : 경주문화관광 http://me2.do/xtXko6bt

백제역사유적지구 기념주화는  앞면 좌측 앞쪽에는 백제 금동대항로의 상부 모습을 표현하고 그 뒤로 공주 공산성의 전경을 배치했습니다. 뒷면은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 동 석탑에서 출토된 금제사리호, 유리구슬 등의 유물을 함께 삽입했습니다.  

 

 

사진 출처 : 백제역사유적지구 http://me2.do/xinxMxLE

 

 

 사진 출처 : 백제역사유적지구 http://me2.do/5XloR8u7 

 

 

7. 2016년 한국의 문화유산 기념주화(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한국의 문화유산 기념주화 예약접수 안내

http://komsco.tistory.com/659

  1.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고창·화순·강화 고인돌유적 [Gochang, Hwasun, and Ganghwa Dolmen Sites, 高敞和順江華─遺蹟] (두산백과) [본문으로]
  2.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 왕릉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유네스코 세계유산, 유네스코한국위원회(번역 감수))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