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MSCO 이야기498

[그림보고 화가 읽기 ⑫] ‘레디 메이드의 신화’를 쓴 마르셀 뒤샹 그림보고 화가 읽기⑫ ‘레디 메이드의 신화’를 쓴 마르셀 뒤샹 글 이은화(미술평론가) 1917년 마르셀 뒤샹은 가게에서 산 남자 소변기에 ‘R. Mutt’라고 서명한 후 뉴욕 독립미술가협회 전시회에 출품했다. 작품 제목은 ‘샘’으로 붙였다. 이 협회는 연회비 6달러만 내면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고, 출품작들은 심사 없이 다 전시될 수 있었다. 하지만 개막식 전 이 변기만 전시가 거부되면서 격렬한 논쟁이 일었다. 이건 미술작품이 아니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100년이 지난 지금은 어떤가? 현대미술에 가장 영향을 준 작품이자 20세기 미술의 아이콘으로 손꼽힌다. 미술사를 빛낸 명작 변기가 된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궁금하다. 변기가 어떻게 예술품이 될 수 있단 말인가? 어째서 20세기 미술을 대.. 2021. 11. 30.
[영상] 한국조폐공사 창립 70주년, 70장면 한국조폐공사 창립 70주년, 70장면 2021년, 한국조폐공사가 창립 7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951년 10월 1일, 한국전쟁 중 임시수도 부산에서 설립된 조폐공사는 2021년 10월 1일, 창립 70주년 비전선포식에서 '초연결 시대 국민 신뢰 플랫폼 파트너'로의 도약을 선언했습니다. 매 순간 도전과 혁신을 거듭해 온 조폐공사의 70년 발자취를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2021. 11. 19.
창립 70주년 대국민 영상공모전 장려상(6) '기술이 신뢰다, 한국조폐공사(장혜지, 권예원)' [기술이 신뢰다, 한국조폐공사(장혜지, 권예원)] 한국조폐공사 창립 70주년 대(對)국민 영상공모전 장려상 수상작 마지막 편을 공개합니다★ 이번 영상은 '기술이 신뢰다, 한국조폐공사(장혜지, 권예원)'입니다. [장려상 수상작] - 수상자 : 장혜지, 권예원 - 제목 : 기술이 신뢰다, 한국조폐공사 - 작품소개 : 한국조폐공사의 은행권, 여권의 위변조 방지 기술, 정품 인증기술, COS 보안 솔루션을 소개하며, 한국조폐공사 기술에 대한 신뢰성을 이미지로 쉽게 알리는 인포그래픽 영상입니다. 2021. 9. 29.
“색? 스타일 통일하고 가구 높낮이 맞추면 거실 넓어 보여” 미니멀하게 사는 법 ⑤ “색? 스타일 통일하고 가구 높낮이 맞추면 거실 넓어 보여” 글 노진선(디자인 디렉터) 아무리 이론을 갈고 닦아도 실전에서 활용할 수 없다면 소용이 없다. 하루하루가 행복한 집을 가꾸기 위해 미니멀 인테리어에 대해 열심히 공부했다면, 이제는 적용할 차례다. 공간별로 미니멀 인테리어를 어떻게 구현하면 좋을지 함께 알아보자. 처음부터 인테리어 전문가가 집을 둘러보고 컨설팅 해주면 좋겠지만, 그 전에 본인이 원하는 바를 분명히 하고, 기준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기회에 칼럼을 통해 실용적인 비대면 인테리어 컨설팅을 톡톡히 받아보시길! 집의 첫인상, 현관 ● 공간이 확장돼 보이는 효과를 주는 거울 ● 수납장 아래를 터서 공간 활용도 업! ● 집안이 바로 보이지 않도록 식물 활용 현관.. 2021. 9. 27.
광주 카페 문화 중심지 동명동 산책 공간 산책⑤ 광주 카페 문화 중심지 동명동 산책 글·사진 김혜영(여행 칼럼니스트) 광주 동구 동명동이 신선한 여행지로 뜨고 있다. 몇 해 전부터 학원이 밀집했던 주택가에 카페거리가 만들어지면서부터다. 카페거리는 지금도 점점 규모가 커지고 있다. 광주 대표 원도심인 동명동에 왜 카페거리가 생기게 됐는지 궁금해졌다. 골목을 구석구석 산책하며, 여행자의 발길을 끄는 매력 포인트를 찾아봤다. 광주 원도심 동명동 변천사 금강산도 식후경이라고 광주에 도착해 동명동 브런치 카페부터 들렀다. 콥샐러드가 유명하다고 해서 점찍어둔 곳이다. 동명동 카페거리 중심에 있는 ‘코발트’라는 카페인데, 외관이 유럽 주택 같다. 새로 지은 건물 같지 않아 주민에게 물어보니, 원래는 살림집이었는데 어학원으로 사용되다가 올해 카페로 바뀌.. 2021. 9. 27.
장 시벨리우스 :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작품47 조희창의 클래식 읽기 ⑤ “고드름 속의 찬란한 불꽃!” 장 시벨리우스 :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작품47 Jean Sibelius : Violin Concerto in D minor, op. 47 글 조희창(음악평론가) 핀란드는 러시아와 스웨덴이라는 강대국에 끼어 오랫동안 고생한 나라다. 1809년, 러시아가 핀란드를 침공해 전 국토를 병합하고 탄압하기 시작했다. 어려운 상황에 몰리게 되면서 핀란드에는 민족정신을 되살리자는 문화 운동이 고개를 들었다. 그 결과물로 나온 것이 1835년의 핀란드 민족 서사시 의 복원이었다. 이후 1917년 러시아 혁명을 틈타 핀란드는 독립을 선언하고 이듬해 공화제를 시행했다. 그러나 독립국으로서의 평화도 잠시,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으로 다시 러시아의 침공이 시작돼 .. 2021.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