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MSCO 이야기/화폐와 행복(사보)

화폐로 보는 세계의 전통의상 - 중국

by 한국조폐공사 2017. 4. 3.

중국


후기 홍적세의 시작 이래, 중국은 고립된 지형적 조건으로 인해 그자체로 하나의 우주였다. 중국의 서쪽과 북쪽은 거대한 산맥과 높은 사막 고원지대로 둘러싸여 있고, 남쪽으로는 울창한 밀림이, 동쪽으로는 바다가 자리잡고 있다. 안으로는 주요한 지리적 구분이, 거대한 산맥들과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강에 의해 나뉜다. 중국 문명을 발생시킨 지배적인 문화는 황하 강변을 따라 북쪽에서 시작되었다. 황하는 겨울에는 춥고 거친 평원지대였지만, 중국의 가장 중요한 산물이었던 기장이 자라날 수 있는 비옥하며 쉽게 일할 수 있는 황토 지역을 끼고 있었다. 기본 수확률이 기장에서 쌀로 바뀐 것은 2000여 년 전이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도 중국은 특유의 많은 역사 전통을 탄생시켰다. 실크, , 청동, 그리고 철기와 같은 고급 물품들이 이미 세련되게 정제되었으며, 이러한 물품들은 중국의 문화를 다른 문명과 차별화시켰다. 특히 실크는 중국 귀족 사회의 특색이 된 의식적, 정치적, 사회적인 행위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이후 사회가 발달하고 구조와 기능이 세분화됨에 따라 사람의 지위, 신분, 권위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특수한 복식, 휘장, 색채 등이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청()은 만주의 여진족이 세운 왕조로서 한족에 대해 강경책과 온건책을 병행했는데 입관(入關) 직후 복식에 있어서는 먼저 머리를 깍게 하고 옷을 바꿔 입게 하는 등 강경책을 써 머리(목숨)을 남기려면 모발을 남기지 말고 모발을 남기려면 머리를 남기지 않는다.”는 말이 생길 정도였다. 이에 대해 한족은 차라리 목을 잘릴지언정 머리는 절대로 안 깎는다.”고 반항했으나 후에는 점차 만주족의 습속에 따르게 되었다. 이처럼 유목민족 복식의 영향은 지배적이었지만 한족과의 접촉을 통해 융화되는 점도 적지 않았으니 한 예로 활동하기에 편리한 복장을 추구하던 만주족의 옷이 후에는 일하기에 불편할 정도로 소매가 넓고 커진 것을 들 수 있다. 청말에는 자신들의 국가체계를 유지하고자 청대의 의관과 변발을 멸시하고 한족의 의관을 계승하고자 했다.


청대 복식에 있어 특이할 만한 것은 남자는 청의 제도를 따르되, 여자는 따르지 않아도 좋다.’는 방침을 실행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남자는 만주족 복식을 착용하도록 강력하게 지시하였으나, 한족 여자들은 계속 한족 복식을 착용할 수 있었다. 복식의 형태는 한족의 포()와 만주족의 괘()가 기본이 되었다. 포는 명대에 비하여 품이 줄었고, 옷깃을 여밀 때 대신에 단추를 사용하였다. 소매는 말발굽과 비슷한 형태인 마제수가 많았는데 이것은 수렵생활에 편리한 방하용이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청대에는 예의를 갖출 때 손을 가리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중국은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족과 그 외 55개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국가이다. 중국을 대표하는 전통복식은 일반적으로 차파오로 알려져 있다. 차파오는 중국의 마지막 왕조의 복식으로 근대화시기 국제적으로 서구에 알려져 지금까지 유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청조 이전의 한족의 화복과 민국시대의 중산복등이 모두 중국 전통 복식을 대표하는 것 중의 하나이다. 차파오는 중국 전통의상을 대표하는 여성복 중의 하나이다. 16세기 중기 청대복식에서 기원하였다. 16세기 중기 만족 여자들이 입는 만족복장에서 기원하였다. 차파오는 중화민국시기의 여자들의 옷이었는데 만족 여자들의 창파오에서 변화를 거쳐 탄생한 것이다. 만족이 치인이라고 불리므로 그들의 옷도 차파오라고 불리게 되었다. 전통 차파오, 만족 기인들이 입었던 창파오는 넓고 옷선이 평평하고 곧았고 옷 길이는 발치까지였다. 치파오는 형태상 위는 직선을 사용했고 가슴, 어깨, 허리, 엉덩이까지 선이 평평하고 곧았는데 이는 여성의 몸매를 감추기 위해서이다. 원단의 특징, 재료는 천단, 비단, 솜털 등을 많이 사용했다. 옷 위에 꽃무늬를 수놓고 옷깃, 옷에는 큰 레이스를 달았다. 이후 1920~30년대 보다 개량형태로 유행하였고 세계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차파오

(청대 만족여자의 차파오)




개량차파오 (1920년대)


특히 중국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입고 있는 인민복(중산복)은 중국의 개혁가 쑨원이 고안한 옷이다. 1912년부터 1916년까지 쑨원은 양복을 착용하였다. 양복은 작업복으로 실용성이 부족하다고 느꼈고, 전체적으로 중국 인민들의 소박한 생활과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의복은 새로운 중국의 사회분위기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으면서 실용적인 면이 부각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일본식 제복의 형태에 양복의 재단방법과 중국 전통복식을 융합하여 중산복을 고안하였다.이 시기 중산복의 형태는 일본 제복과 큰 차이가 없었다. 즉 포켓이 3개 있고, 앞 중심에 7개의 단추가 달려 있었으며 소매는 두 장으로 구성된 형태였다. 1916년 이후 쑨원을 비롯한 혁명당원들은 중산복을 혁명의 상징으로 착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중산복은 중국인 남녀노소에게 널리 착용되었고, 부분적인 형태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참고 문헌

퍼트리샤 리프 애너월트(2009), 한국복식학회,세계복식문화사, 예담

한국은행(2013),화폐 속의 패션박물관, 한국은행

기초(2016),중국 중산복의 변천 및 현대패션에의 적용사례 고찰,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출처 : 화폐와 행복 3+4 『화폐로 보는 세계의 전통의상』 


글  김재민 기술연구원 디자인연구센터




댓글